라벨이 리카도인 게시물 표시

비교우위 이야기 3 - 왜 포르투갈인가

이미지
리카도의 원형 모델 자체가 갖고 있는 쟁점이 있긴 하지만, 그건 나중에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. 여기서는 리카도가 왜 하필이면 영국의 모직물과 포르투갈의 포도주를 예로 들었는지 생각해 보려 합니다. 대부분의 무역이론 교과서에서는 그 이유를 말하지 않습니다. 중요한 것이 아니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. 그래도 저는 궁금합니다.   사실 영국의 모직물과 포르투갈의 포도주 교환은 역사적 맥락을 갖고 있습니다. 그래서 아마도 당대의 사람들에게는 리카도의 그런 예 들기가 익숙한 것이었을 겁니다.  1373년에 영국과 포르투갈은 영국-포르투갈 동맹을 맺었습니다. 이때부터 두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동맹관계를 유지해 왔습니다. 두 나라는 유럽의 가장자리에 자리 잡은 해양 국가로서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습니다. 두 나라의 우호 관계는 그 이전에 이미 형성되고 있었습니다. 1147년에 포르투갈 왕국의 아폰수 1세가 리스본을 점령할 때 영국 기사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. 이에 왕은 리스본 주교로 영국인을 임명하는 것으로 보답한 적이 있었습니다.  아폰수1세. 위키피디아 양국 관계는 1580년 포르투갈이 왕위 계승에 실패하고 스페인과 이베리아 연합으로 통합한 뒤 잠시 소원해졌습니다. 그러나 1640년부터 1668년까지 지속된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에서 영국이 포르투갈을 지원하면서 양국 관계는 다시 회복되었습니다.  1703년 포르투갈은 스페인 왕위계승전쟁(1701~1715)에서 영국-네덜란드 동맹에 참여했고 같은 해 두 나라는 메수엔 조약(Methuen Treaty)을 체결했습니다. 그리고 18세기 중반 포르투갈은 세계대전 급의 전쟁인 7년전쟁(1756~1763)에서 프로이센-하노버-영국의 연합에 참여했습니다. 이 전쟁에서 포르투갈은 큰 이득을 얻지는 못했지만, 스페인의 침공을 막아냈습니다.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(1803~1815) 시에 포르투갈은 끝까지 영국 편에 서서 대륙봉쇄령에 저항하여 영국과 무역을 지속했습니다. 이에 나폴레옹이 1807년 포르투갈의 리스본을 침략했고

비교우위 이야기 2 - 리카도의 원형 모델

이미지
비교우위 이론은 리카도의  『 정치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 』( 이하 『 원리 』 라고 함 ) 의 제 7 장 「 외국무역에 대하여 」 에 나오는 다음 문장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. 이것을 리카도의  ‘ 원형모델 ’ 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. {1} 그 나라 [ 포르투갈 ]가  잉글랜드의 모직물과 교환하여 내놓을 포도주의 양은 , 두 상품 모두가 잉글랜드에서 제조되거나 모두 포르투갈에서 제조될 경우에 그런 것처럼 각 상품의 생산에 충당된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. {2} 잉글랜드는 그 모직물을 생산하는데 연간 100 명의 노동이 필요한 상황에 있으며 , 잉글랜드가 그 포도주를 생산하려고 한다면 , 동일한 기간 동안 120 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 보자 . 그러면 잉글랜드는 포도주를 수입하고 , 또 모직물을 수출하여 그것을 구매하는 것이 이익임을 알게 될 것이다 . {3} 포르투갈에서 포도주를 생산하는 데에는 연간 80 명의 노동만이 필요하며 , 같은 나라에서 모직물을 생산하는 데에는 같은 기간 동안 90 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보자 . 그러면 포르투갈은 포도주를 수출하여 모직물과 교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.  {4} 포르투갈이 수입하는 상품이 잉글랜드에서보다 거기서 더 적은 노동으로 생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, 이 교환은 일어날 것이다 . 그 나라가 모직물을 90 명의 노동으로 만들 수 있어도 , 그 나라는 그것을 생산하는데 100 명의 노동이 필요한 나라로부터 그것을 수입할 것이다 . 왜냐하면 그 나라는 그 자본의 일부를 포도 재배에서 모직물 제조로 전환시켜서 생산할 수 있는 모직물보다 많은 모직물을 잉글랜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, 포도주의 생산에 그 자본을 투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. {5} 그리하여 잉글랜드는 80 명의 노동의 생산물에 대해 100 명의 노동의 생산물을 내놓을 것이다. 위 인용문은 리카도의    『 원리 』의 일부를 번역한    『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에 대하여 』(권기철 역, 책세상, 2016)의 14

비교우위 이야기 1 - 비교우위의 법칙

이미지
국가들은 다음 두 가지 이유로 무역을 해서 이득을 얻습니다. 첫째, 국가들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무역을 합니다. 각국은 상대적으로 잘하는 일을 하는데 합의하면, 개인과 마찬가지로 그 차이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. 둘째, 국가들은 생산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역을 합니다. 다시 말하면 각국이 제한된 범위의 제품만을 생산한다면 좀 더 큰 규모로 각 재화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, 모든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. 실제 세계에서 국제무역이 형성되는 패턴은 이 두 동기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결정됩니다.(크루그먼•옵스펠드, 국제경제학, 시그마프레스) <한국의 비교우위 지수와 최대 경쟁국> 자료: KERI 보도자료, 2018.11.26. 비교우위 이론은 국제무역이 일어나는 원인과 무역에서 얻는 이익을 설명하려고 하는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. 이 이론을 이해하려면 비교우위의 개념부터 알아야 합니다. 비교우위(comparative advantage)란 다른 재화로 측정한 한 재화의 생산의 기회비용이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보다 낮은 것을 말합니다.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. 한국과 중국 두 나라가 옷과 반도체의 두 재화만을 생산한다고 합시다. 이때 동일량의 노동, 가령 100명의 노동으로 한국은 100벌의 옷 또는 500개의 반도체 칩을 생산할 수 있고, 중국은 100명의 노동으로 100벌의 옷 또는 100개의 반도체 칩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합시다. 그러면 한국에서 옷 1벌을 얻으려면 반도체를 5개 포기해야 하고(500/100), 반도체 칩 1개를 얻으려면 옷을 1/5개 포기해야 합니다(100/500). 반대로 중국에서는 옷 1벌을 얻기 위해 반도체 칩 1개를 포기해야 하고(100/100), 반도체 칩 1개를 얻기 위해 옷을 1벌 포기해야 합니다(100/100). 옷 1벌을 얻는데 들어가는 기회비용이 한국은 칩 5개이고 중국은 칩 1개이므로 중국의 옷 기회비용이 한국보다 낮습니다. 따라서 중국이 옷에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