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교우위 이야기 2 - 리카도의 원형 모델
비교우위 이론은 리카도의 『정치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』(이하 『원리』라고 함)의 제7장 「외국무역에 대하여」에 나오는 다음 문장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. 이것을 리카도의 ‘원형모델’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.
{1} 그 나라[포르투갈]가 잉글랜드의 모직물과 교환하여 내놓을 포도주의 양은, 두 상품 모두가 잉글랜드에서 제조되거나 모두 포르투갈에서 제조될 경우에 그런 것처럼 각 상품의 생산에 충당된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.
{2} 잉글랜드는 그 모직물을 생산하는데 연간 100명의 노동이 필요한 상황에 있으며, 잉글랜드가 그 포도주를 생산하려고 한다면, 동일한 기간 동안 120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 보자. 그러면 잉글랜드는 포도주를 수입하고, 또 모직물을 수출하여 그것을 구매하는 것이 이익임을 알게 될 것이다.
{3} 포르투갈에서 포도주를 생산하는 데에는 연간 80명의 노동만이 필요하며, 같은 나라에서 모직물을 생산하는 데에는 같은 기간 동안 90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보자. 그러면 포르투갈은 포도주를 수출하여 모직물과 교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.
{4} 포르투갈이 수입하는 상품이 잉글랜드에서보다 거기서 더 적은 노동으로 생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, 이 교환은 일어날 것이다. 그 나라가 모직물을 90명의 노동으로 만들 수 있어도, 그 나라는 그것을 생산하는데 100명의 노동이 필요한 나라로부터 그것을 수입할 것이다. 왜냐하면 그 나라는 그 자본의 일부를 포도 재배에서 모직물 제조로 전환시켜서 생산할 수 있는 모직물보다 많은 모직물을 잉글랜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, 포도주의 생산에 그 자본을 투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.
{5} 그리하여 잉글랜드는 80명의 노동의 생산물에 대해 100명의 노동의 생산물을 내놓을 것이다.
위 인용문은 리카도의 『원리』의 일부를 번역한 『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에 대하여』(권기철 역, 책세상, 2016)의 149~150쪽에서 발췌했습니다. 각 문단 앞의 번호는 제가 임의로 붙인 것입니다.
리카도의 이 예는 일정량의 모직물과 포도주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의 양을 기준으로 표시한 것입니다. 이 경우에 어느 나라가 어느 상품에 비교우위를 가지는지를 요즘 방식으로 따져봅시다.문장 2와 3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 다음 표1입니다.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