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잉글랜드인 게시물 표시

비교우위 이야기 5 - 모직물은 영국경제의 알파요 오메가

이미지
  중세 잉글랜드에서 양모 생산은 큰 사업이었습니다 . 중세 이후 양모 수요가 엄청나게 증가했는데 , 주로 모직물을 생산하기 위해서였습니다 . 이에 따라 농부에서 대토지소유자들에 이르기까지 토지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양을 길렀습니다 . 양치기소년. 위키피디아 처음에 잉글랜드인은 자국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모직물을 제조했고 , 따 라서 모직물 수출은 미미했습니다 . 해외로 팔려나간 것은 잉글랜드의 양에서 나온 가공되지 않은 양모였습니다 . 당시 유럽에서 최고의 직조기술자들은 플랑드르 지역에 살았습니다 . 브뤼헤 , 겐트 , 이프레스 등지의 부유한 모직물 제조 도시들은 영국 양모에 높은 가격을 지불했습니다 . 13 세기 후반부터 15 세기 말까지 양모는 중세 잉글랜드 경제의 중추이자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. 이 당시에 무역은 “ 왕국의 보석 ” 이라고 불렸습니다 . 양모 무역이 증가하면서 영주 , 수도원장 , 주교를 포함한 대지주들은 그들의 재산을 양떼의 수로 계산하기 시작했습니다 . 왕은 수출되는 모든 양모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이득을 얻었습니다 . 북부부터 남부까지 잉글랜드 전역에서 엄청난 숫자의 양들이 양모를 얻기 위해 사육되었습니다 . 당시에 양모시장에서는 플랑드르와 이태리의 상인들이 많았고 이들은 귀족과 농민을 가리지 않고 양모를 현금으로 사들였습니다 . 양모 뭉치는 마차에 실려 보스톤 , 런던 , 샌드위치 , 사우스햄튼 등의 잉글랜드 항구로 보내졌고 거기서 다시 안트워프와 제노아로 선적되었습니다 . 당시 대토지소유자들은 해외의 모직물 제조업자들과 직접적인 무역 관계를 맺었지만 , 농민들은 이동 양모 상인들과 거래를 계속했습니다 . 대토지소유자들은 중개인을 없애고 대량 거래를 함으로써 훨씬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. 잉글랜드에서 중산층과 노동계급의 분리가 시작된 이유가 양모 무역 때문이라고 말해지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. 이 시기 왕들은 양모 무역에 대해 무거운 세금을 매겼습니다 . 에드워드 1 세 ( 재위 1272~1307 년 ) 가 시초였습니

비교우위 이야기 2 - 리카도의 원형 모델

이미지
비교우위 이론은 리카도의  『 정치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 』( 이하 『 원리 』 라고 함 ) 의 제 7 장 「 외국무역에 대하여 」 에 나오는 다음 문장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. 이것을 리카도의  ‘ 원형모델 ’ 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. {1} 그 나라 [ 포르투갈 ]가  잉글랜드의 모직물과 교환하여 내놓을 포도주의 양은 , 두 상품 모두가 잉글랜드에서 제조되거나 모두 포르투갈에서 제조될 경우에 그런 것처럼 각 상품의 생산에 충당된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. {2} 잉글랜드는 그 모직물을 생산하는데 연간 100 명의 노동이 필요한 상황에 있으며 , 잉글랜드가 그 포도주를 생산하려고 한다면 , 동일한 기간 동안 120 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 보자 . 그러면 잉글랜드는 포도주를 수입하고 , 또 모직물을 수출하여 그것을 구매하는 것이 이익임을 알게 될 것이다 . {3} 포르투갈에서 포도주를 생산하는 데에는 연간 80 명의 노동만이 필요하며 , 같은 나라에서 모직물을 생산하는 데에는 같은 기간 동안 90 명의 노동이 필요하다고 해보자 . 그러면 포르투갈은 포도주를 수출하여 모직물과 교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.  {4} 포르투갈이 수입하는 상품이 잉글랜드에서보다 거기서 더 적은 노동으로 생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, 이 교환은 일어날 것이다 . 그 나라가 모직물을 90 명의 노동으로 만들 수 있어도 , 그 나라는 그것을 생산하는데 100 명의 노동이 필요한 나라로부터 그것을 수입할 것이다 . 왜냐하면 그 나라는 그 자본의 일부를 포도 재배에서 모직물 제조로 전환시켜서 생산할 수 있는 모직물보다 많은 모직물을 잉글랜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, 포도주의 생산에 그 자본을 투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. {5} 그리하여 잉글랜드는 80 명의 노동의 생산물에 대해 100 명의 노동의 생산물을 내놓을 것이다. 위 인용문은 리카도의    『 원리 』의 일부를 번역한    『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에 대하여 』(권기철 역, 책세상, 2016)의 14